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누스 소스 코드
- 아이플라이텍
- 비정형데이터
- 노지디랩
- 마누스 ai 소스 코드
- 디자인씽킹방법론
- UI
- 그록3
- 화면설계서
- grok3
- thinkhub
- grok3 다운로드
- cot 토큰 비용
- grok3 디시
- 드래프트 사슬(cod)
- 딥시크관려주
- 그록 ai
- R데이터분석
- 딥시크어플
- 오스본체크리스트
- 노디지랩
- cot헷
- 챗과장 보고서용 템플릿
- 챗과장
- 엔비디아딥시크설계자
- cot gpt
- 챗과장 아이디어정리탬플릿
- 그록3 무료
- 마누스 ai 오픈 소스
- 마누스ai
- Today
- Total
목록서비스기획 (47)
기획은 검정색이다.

1. 인트로: 왜 간편약관동의가 중요한가?간편약관동의란 무엇인가?서비스 이용 중 약관 동의를 간소화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식.단순히 클릭 몇 번으로 끝나는 절차 같지만, 사용자와 기업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님.중요성사용자는 복잡한 절차 없이 빠르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기업은 법적 안정성과 사용자 동의를 명확히 확보할 수 있음.2. 간편약관동의 설계 시 고려사항법적 요건 준수전자서명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준수하며 약관 설계.사용자가 주요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한 표현 사용.사용자 경험(UX) 최적화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약관 제공.약관 요약 및 핵심사항 강조 (예: "이용자가 제공할 데이터: 이름, 이메일").선택적 동의 항목은 기본적으로 체크 해제 상태로 제공.동의 흐름 설계..
GestaltUX: 사용자의 심리를 이해하는 UX 디자인 원칙Gestalt 이론은 심리학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사람이 시각적 정보를 어떻게 인식하고 처리하는지를 설명합니다. UX 디자인에서는 Gestalt 원리를 통해 사용자가 더 쉽게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Gestalt 이론의 주요 원리Gestalt는 독일어로 '전체' 또는 '형태'를 의미하며,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라는 기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UX 디자인에서 자주 사용되는 Gestalt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1. 근접성(Proximity)개념: 가까이 있는 요소들은 서로 관련이 있다고 인식됩니다.적용: 버튼과 텍스트 필드를 가까이 배치하면, 사용자는 두 요소가 같은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프론트(Frontend)와 어드민(Admin) 기획은 사용자 대상, 기능 목표, UI/UX 접근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대상 사용자프론트: 일반 사용자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화면입니다. 사용자 친화적이며, 직관적으로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어드민: 관리자나 내부 직원이 사용하는 화면입니다. 주로 데이터 관리, 모니터링, 분석 기능이 중요하게 다뤄지며, 기능의 효율성과 작업 편의성이 우선됩니다.2. 기능 및 목적프론트: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기능을 기획합니다. 검색, 결제, 로그인, 게시물 작성과 같은 사용자 활동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어드민: 데이터 관리, 고객 지원, 서비스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아닌 운영자를 돕는 도구로써의 기능..
화면 설계 전에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은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고, 실제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과 인터페이스 요소를 미리 점검하여 설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1. 문제 정의 및 가설 설정사용자들이 직면한 문제를 정의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을 명확히 작성합니다.물고기 뼈 형태의 다이어그램으로, 문제의 원인을 다각도로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주 원인을 '사람', '기술', '환경', '과정' 등으로 나누어 세부 원인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이 방법은 특히 복잡한 문제가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경우 유용합니다.예를 들어, "고객이 결제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계하면 이탈률이 줄어들 것이다"와 같은 가설을..

쇼핑몰 대시보드를 기획할 때는 관리자나 운영자가 중요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빠르게 행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로 트래픽, 주문, 매출, 상품 관리 등 핵심 지표들을 포함해야 합니다. 아래는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기본 구성 아이디어입니다[대시보드 차원, 측정값 설계]1. 상단 요약 (헤더 영역)오늘의 매출: 오늘 발생한 총 매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그래프나 숫자.주문 수량: 일별 주문 수 및 증가/감소 추세.고객 수: 신규 가입자와 재방문 고객 수.재고 상태: 인기 상품 및 재고 부족 상품 알림.매출 총괄 화면 설계서화면 이름: 매출 총괄 대시보드목적: 사용자(관리자 또는 경영자)가 일별, 주별, 월별 매출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하고, 매출 추세와 주요 지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

Structural Model(구조모형)은 다양한 분야에서 물리적 또는 개념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모형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조모형의 대표적인 유형입니다.1. 해부학적 구조 모형 (Anatomical Structural Model)인체나 동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여주는 모형입니다.예: 심장 모형, 뇌 모형, 골격 모형 등.2. 화학적 구조 모형 (Chemical Structural Model)분자, 원자 간의 결합과 배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모형입니다.예: DNA 이중나선 구조, 물 분자 구조, PVC의 구조 등.3. 물리적 구조 모형 (Physical Structural Model)물리적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냅니다. 건축물, 기계, 장비 등의 실제 물리적 구조를 설명하는 모형..

Van사(VAN, Value Added Network)와 PG사(Payment Gateway)의 차이는 전자 결제 과정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기능에서 나타납니다. 두 회사는 모두 결제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각기 다른 부분을 담당합니다.1. VAN사 (Value Added Network)역할: VAN사는 카드 결제 승인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중간 역할을 합니다.주요 기능카드 결제 시 고객의 결제 정보를 PG사, 카드사 등과 주고받는 중계 역할.신용카드 결제 단말기(포스)에서 발생한 결제 정보를 카드사로 전송해 결제를 승인받고, 승인 결과를 다시 포스로 전달.일반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많이 사용되며, 온라인 결제에서는 일부 연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시: KT, 한국정보통신, 나이스정보통신..

플로우차트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플로우차트의 기본 요소플로우차트를 구성하는 도형들은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프로세스의 다양한 요소와 흐름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형태: 타원 또는 둥근 모서리의 직사각형.설명: 프로세스의 시작과 종료를 나타냅니다. 모든 플로우차트는 이 도형으로 시작하고 끝납니다.예: "Start", "End", "Process Initiation", "Shutdown".2. 프로세스 (Process)형태: 직사각형.설명: 작업이나 활동을 나타내며, 주로 처리 단계, 계산 또는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예: "Order Processing", "Review Document", "Submit Form".3. 결정 (Decis..

서비스 기획자가 작성하는 화면 설계서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 중 드롭다운 같은 인터랙션 요소는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대표적인 컴포넌트와 그 적용 사례입니다.1. 드롭다운 메뉴 (Dropdown Menu)설명: 여러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때 사용.적용 사례: 회원 가입 시 국가 선택, 배송 옵션 선택.2. 멀티 셀렉트 드롭다운 (Multi-Select Dropdown)설명: 여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드롭다운.적용 사례: 검색 필터에서 여러 카테고리를 선택할 때(예: 쇼핑몰에서 색상, 사이즈 등).3. 서브메뉴 (Cascading Dropdowns)설명: 첫 번째 선택에 따라 두 번째 드롭다운 항목이 달라지는 기능.적용 사례: 지역 선택 후 ..

UX(User Experience) 방법론은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에 맞춘 제품 또는 서비스의 디자인 및 개발을 위해 다양한 단계와 기법을 사용합니다. UX 방법론의 유형은 여러 단계에 걸쳐 사용자 연구, 분석, 설계, 테스트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최종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합니다.UX 방법론의 주요 유형과 사례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개요: 디자인 씽킹은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접근 방식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중심으로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는 방법입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여러 번 반복적으로 테스트와 개선을 거칩니다.단계: 공감(Empathize) → 문제 정의(Define) → 아이디어 도출(Ide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