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대시보드(Dashboard)차트별 용도
- 제미나이나노바나나
- 차트별용도
- ai 입문용어
- 대시보드차트별용도
- AI 상식 용어]
- UI
- 필수 ai 용어
- 나노바나나 사용법
- qr결제 원리
- 개발 ai 용어
- 데시보드차트별예시
- 데시보드차트별용도
- 디자인씽킹방법론
- 나노바나나AI
- 대시보드차드별기능
- 비정형데이터
- 대시보드차크별예시
- 데시보드차트별기능
- 데이터차트별용도
- 나노바나나
- qr결제 화면설계서
- 알기쉬운 ai 용어
- qr결제 설계서
- R데이터분석
- 화면설계서
- qr결제 기획서
- ai로만든메신저
- 오스본체크리스트
- thinkhub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5)
기획은 검정색이다.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을 구글 시트로 관리하는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입니다.OKR은 Objectives and Key Results의 약자로, 목표와 핵심 결과를 뜻합니다. OKR은 개인, 팀, 또는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Objective)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측정할 수 있는 핵심 결과(Key Results)를 정의하는 성과 관리 체계입니다.Objective(목표):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방향성이나 목표를 의미합니다.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영감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예: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킨다"Key Results(핵심 결과): 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 지표입니다.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

플로우차트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플로우차트의 기본 요소플로우차트를 구성하는 도형들은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프로세스의 다양한 요소와 흐름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형태: 타원 또는 둥근 모서리의 직사각형.설명: 프로세스의 시작과 종료를 나타냅니다. 모든 플로우차트는 이 도형으로 시작하고 끝납니다.예: "Start", "End", "Process Initiation", "Shutdown".2. 프로세스 (Process)형태: 직사각형.설명: 작업이나 활동을 나타내며, 주로 처리 단계, 계산 또는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예: "Order Processing", "Review Document", "Submit Form".3. 결정 (Decis..

서비스 기획자가 작성하는 화면 설계서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 중 드롭다운 같은 인터랙션 요소는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대표적인 컴포넌트와 그 적용 사례입니다.1. 드롭다운 메뉴 (Dropdown Menu)설명: 여러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때 사용.적용 사례: 회원 가입 시 국가 선택, 배송 옵션 선택.2. 멀티 셀렉트 드롭다운 (Multi-Select Dropdown)설명: 여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드롭다운.적용 사례: 검색 필터에서 여러 카테고리를 선택할 때(예: 쇼핑몰에서 색상, 사이즈 등).3. 서브메뉴 (Cascading Dropdowns)설명: 첫 번째 선택에 따라 두 번째 드롭다운 항목이 달라지는 기능.적용 사례: 지역 선택 후 ..

UX(User Experience) 방법론은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에 맞춘 제품 또는 서비스의 디자인 및 개발을 위해 다양한 단계와 기법을 사용합니다. UX 방법론의 유형은 여러 단계에 걸쳐 사용자 연구, 분석, 설계, 테스트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최종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합니다.UX 방법론의 주요 유형과 사례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개요: 디자인 씽킹은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접근 방식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중심으로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는 방법입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여러 번 반복적으로 테스트와 개선을 거칩니다.단계: 공감(Empathize) → 문제 정의(Define) → 아이디어 도출(Ideate)..

ADKAR 모델은 조직 변화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로, 개인의 변화 여정을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이 모델은 조직 내에서 성공적인 변화를 위해 개인이 변화 과정을 어떻게 경험해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ADKAR 모델의 5단계Awareness (인식)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갖추는 단계. 왜 변화가 필요한지를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Desire (욕구)변화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만드는 단계. 개인이 변화에 동참하고 싶어 하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사람들이 변화가 필요한 이유를 알 게 되면 변화에 참여하고 지원하려는 욕구가 뒤따릅니다.그렇죠 왜?에 대한 고민이 해결되면 적극 동참하는 분위기가 생성됩니다.Knowledge (지식)변화를 위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단계. 변화의 성공적인 실..

케네빈 프레임워크(Cynefin Framework)는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상황을 분류하고 이에 맞는 접근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의사결정 모델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조직 이론가인 데이브 스노우든(Dave Snowden)이 1999년에 개발했으며, 다양한 문제를 다섯 가지 도메인으로 구분하여 각 도메인에 맞는 문제 해결 전략을 제시합니다.케네빈 프레임워크의 5가지 도메인명백한(Obvious)문제의 원인과 결과가 명확한 상황. 최선의 답이 존재하며, 문제 해결은 매뉴얼이나 절차에 따르는 것이 적합합니다.OBVIOUS (눈으로 보거나 이해하기에) 분명한[명백한] (=clear) 상황입니다.단어 그대로 어떤 사건이 발생했는데 sense 감지가 가능하고 categorize카테고리 분류가 가능하기에 ..

Tuckman's Ladder, 또는 Tuckman's Team Development Model은 팀이 발전하면서 겪는 단계들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모델은 1965년 브루스 터크먼(Bruce Tuckm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팀이 어떻게 협력하고 성과를 내기 위해 변화하는지 설명합니다. 5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Tuckman's Ladder의 5단계형성(Forming):팀원들이 처음 모여 서로를 탐색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팀원들은 서로의 역할과 목표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기 때문에 소극적이고 신중한 행동을 합니다. 리더십이 중요하며 명확한 지침과 목표 설정이 필요합니다.실제 프로젝트에서 포밍은 팀 개발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프로젝트를 위한 TFT일 수도 있고, 정식적인 한 팀일 수도 있습니다..

피쉬본 다이어그램(Fishbone Diagram), 또는 이시카와 다이어그램(Ishikawa Diagram)은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물고기 뼈의 모양을 닮아 '피쉬본'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문제의 근본 원인과 세부 원인들을 구조화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도출하고, 문제가 발생한 다양한 원인을 범주화해 분석할 수 있어 품질 관리나 프로세스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피쉬본다이어그램은 아래 용어로 다양하게 불리지만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피쉬본차트 / fishbone / fishbonechart / 어골도(일본에서 유례) 애자일 방식의 일환으로 빠르게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는데 도움되는 방법론입니다.Fishbone 다이어그램 ..

완성된 IT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매뉴얼은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합니다. 사용자 매뉴얼은 기술적이지 않고 직관적이며, 사용자 경험을 고려해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사용자 매뉴얼 작성법에 대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1. 목차 구성소개 (Introduction)서비스의 개요와 주요 기능을 간단하게 설명합니다.시작하기 (Getting Started)초기 설정, 로그인 절차 등 서비스 사용을 위한 첫 단계 설명.주요 기능 (Core Features)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설명.2. 매뉴얼 작성 시 고려사항2.1. 사용자 중심의 언어 사용기술적인 용어는 피하고, 이해하기 쉬운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합니다.단계별로 절차를 명확하게 설명하..

명시적 공개에 누락된 정보가 있음"은 보통 앱 스토어에서 앱이 거부될 때 표시되는 메시지로, 앱이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공개되어야 할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개인 정보 처리 방침, 데이터 수집 방법, 앱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 등이 충분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앱 설명 및 정보 확인앱 스토어에 등록된 앱의 설명, 스크린샷, 동영상 등을 확인하여 앱의 기능과 동작 방식이 사용자에게 명확히 설명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필요한 경우 앱 설명을 업데이트하여 앱이 무엇을 하는지, 사용자에게 어떠한 데이터에 접근하는지 등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개인정보 처리방침 업데이트앱이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모든 데이터, 데이터 사용 목적, 데..